-
[ 목차 ]
빠르게 변화하는 디지털 시대에 발맞춰 우리나라도 모바일 신분증 시대를 맞이하고 있습니다.
기존의 플라스틱 신분증을 대체하여 스마트폰으로 간편하게 신분증을 확인할 수 있는 시대가 열린 것입니다.
행정안전부는 2025년 2월 14일부터 3월 14일까지 3단계에 걸쳐 모바일 주민등록증 발급을 전국으로 확대한다고 밝혔습니다.
지금부터 모바일 신분증 발급방법 알아보겠습니다.
모바일 신분증 발급방법
모바일 신분증은 크게 두 가지 방법으로 발급받을 수 있습니다.
IC칩 내장 실물 주민등록증을 이용한 발급
기존의 IC칩이 내장된 실물 주민등록증을 가지고 있다면, 스마트폰 앱을 통해 간편하게 모바일 주민등록증을 발급받을 수 있습니다.
스마트폰에 설치된 앱에서 IC칩이 내장된 실물 주민등록증을 스캔하면, 모바일 주민등록증이 자동으로 발급됩니다.
장점: 주민센터 방문 없이 간편하게 발급 가능
단점: IC칩이 내장된 실물 주민등록증이 필요하며, 스마트폰과의 호환성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.
주민센터 방문을 통한 발급
실물(플라스틱) 주민등록증을 가지고 주민센터를 방문하여 QR코드를 발급받은 후, 스마트폰 앱으로 스캔하여 발급받을 수 있습니다.
장점: 별도의 준비물 없이 주민센터 방문만으로 간편하게 발급 가능
단점: 주민센터 방문이 필요하며, QR코드를 분실할 경우 재발급해야 합니다.
모바일 신분증 재발급 방법
모바일 주민등록증을 재발급 받을 떄는 스마트폰에 IC 주민등록증을 태그 한 후 본인인증하여 재발급 받으실 수 있습니다.
또는, 주민센터에 방문하여 발급할 수 있는 방법이 있습니다.
자세한 발급방법 및 이용안내는 모바일 신분증 홈페이지를 통해 확인 하실 수 있습니다.
모바일 신분증 전국 확대 계획
모바일 주민등록증 발급은 3단계에 걸쳐 전국으로 확대될 예정입니다.
1단계 (2월 14일): 대구, 대전, 울산, 강원, 전북, 전남, 경북, 경남, 제주 등 비수도권 지역을 시작으로 시범 운영을 통해 시스템 안정성을 확보하고, 운영 과정에서 발생하는 문제점을 개선합니다.
2단계 (2월 28일): 인천, 경기, 충북, 충남 등 수도권 일부 지역으로 확대하여 더욱 많은 국민들이 모바일 주민등록증을 경험할 수 있도록 합니다.
3단계 (3월 14일): 서울, 부산, 광주 등 대도시로 확대하여 전국민이 모바일 주민등록증을 이용할 수 있도록 합니다.
모바일 주민등록증, 어디서 사용할 수 있을까요?
모바일 주민등록증은 실물 주민등록증과 동일한 법적 효력을 가지므로,
기존에 실물 주민등록증을 사용하던 모든 곳에서 사용할 수 있습니다.
예를 들어, 은행, 병원, 공공기관 등에서 신분증 확인 시 모바일 주민등록증을 제시할 수 있습니다.
모바일 주민등록증, 왜 필요할까요?
1. 편리성 증대: 스마트폰 하나로 언제 어디서든 신분증을 제시할 수 있어 편리합니다.
2. 안전성 강화: 위변조가 어려운 블록체인 기술을 기반으로 만들어져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.
3. 환경 보호: 플라스틱 카드 사용을 줄여 환경 보호에 기여합니다.
4. 행정 효율성 증대: 행정 절차 간소화를 통해 시간과 비용을 절약할 수 있습니다.
모바일 주민등록증은 단순히 신분증을 스마트폰으로 옮겨놓은 것이 아니라, 우리 삶을 더욱 편리하고 안전하게 만들어 줄 미래 기술입니다. 앞으로는 모바일 주민등록증을 활용하여 다양한 공공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됩니다.
모바일 주민등록증은 디지털 시대에 발맞춰 우리 삶을 더욱 편리하게 만들어 줄 혁신적인 서비스입니다.
2025년 3월부터 전국민이 이용할 수 있게 되면서, 우리는 더욱 스마트하고 편리한 삶을 누릴 수 있을 것입니다.
https://www.korea.kr/multi/visualNewsView.do?newsId=148939516
모바일 주민등록증 발급 세 단계로 나눠 전국으로 확대
문화체육관광부에서 운영하는 대한민국 정책을 제공하는 포털사이트로 정책뉴스, 정책포커스, 국민이말하는정책, 정책기고, 문화칼럼, 사실은이렇습니다, 멀티미디어뉴스, 보도자료, 브리핑자
www.korea.kr